카테고리 없음
🏢아파트 입주자라면 꼭 봐야 할! 마이너스 통장 vs 주택담보대출, 뭐가 더 유리할까?
dotomssi
2025. 4. 9. 06:02
안녕하세요. 키갈남입니다.
요즘 분양받은 새 아파트 입주 앞두고 대출 고민하시는 분들 많죠?
"마이너스 통장이 나을까, 아니면 주택담보대출이 더 유리할까?"
오늘은 이 질문에 대해 실제 대출금 예시와 이자 계산까지 싹~ 비교해드릴게요!

본격 비교에 앞서! 대출의 기본 개념부터 정리해요
구분
|
마이너스 통장
|
주택담보대출
|
형태
|
신용대출(한도 대출)
|
담보대출
|
금리
|
보통 5~7%대
|
보통 3~4%대
|
상환방식
|
자유상환, 이자만 납부 가능
|
원리금균등 or 원금균등 상환
|
대출 조건
|
직장인/고신용 위주
|
담보가치 기준
|
대출한도
|
보통 연소득 1.5~2배 수준
|
최대 집값의 70%까지 가능
|
장점
|
유동성 확보, 간편
|
저금리, 고한도
|
단점
|
고금리, 한도 작음
|
절차 복잡, 중도상환수수료 有
|
실제 사례로 보는 대출 이자 비교 (2025년 기준)
가정 상황
- 입주 예정 아파트: 5억 원
- 필요한 자금: 1억 원
- 대출 기간: 5년
- 상환방식: 마이너스 통장은 이자만 납부, 주담대는 원리금균등
① 마이너스 통장 대출 (금리 연 6%)
- 매년 납부 이자: 1억 x 6% = 600만 원
- 5년간 총 이자: 600 x 5 = 3,000만 원
- 원금 상환은 별도 (이자만 냄)
② 주택담보대출 (금리 연 3.5%, 원리금균등)
- 월 상환액(대략): 약 181만 원
- 5년간 총 상환금액: 약 1억 8660만 원
- 총 이자 비용: 약 1,660만 원
차이점은?
→ 이자만 보면 주담대가 무려 1,340만 원 저렴!
→ 하지만 유동성 확보는 마이너스 통장이 우위
언제 어떤 대출이 유리할까?
상황별 추천
|
마이너스 통장
|
주택담보대출
|
초기 자금이 부족한 경우
|
유리
|
더 유리
|
신속하게 잔금이 필요한 경우
|
매우 유리
|
서류/승인에 시간 소요
|
장기 대출을 계획하는 경우
|
불리
|
매우 유리
|
금리에 민감한 경우
|
불리
|
유리
|
고정 수입이 불안정한 경우
|
유리
|
다소 부담
|
결론 :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‘최선의 선택’
✔ 단기간 자금 부족 + 신용 좋다면 → 마이너스 통장 활용 OK
✔ 장기간 안정적으로 갚을 계획이라면 → 주담대가 훨씬 이자 부담 적음!
Tip. 두 대출을 혼용하는 방법도 있어요!
초기 자금 부족 시 마이너스 통장 → 잔금 처리 후 저금리 주담대로 대환!
요점 정리
- 마이너스 통장: 이자만 납부 가능, 유동성 최고! 하지만 금리 높음
- 주택담보대출: 금리 저렴, 장기 상환에 적합! 단, 절차 복잡
- 1억 대출 기준으로 5년간 약 1,340만 원 이자 차이 발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