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. 키갈남입니다.
오늘은 많은 분들이 헷갈려하시는 "마이너스 통장 vs 전세대출" 중 어느 쪽이 더 유리한지 실제 금리와 조건, 예시 계산을 통해 비교 분석해보겠습니다!
전세 계약을 앞둔 분들이라면 꼭 읽어보세요. 선택 하나로 수백만 원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.

📌 마이너스 통장 vs 전세대출, 기본 개념부터 비교!
|
구분
|
마이너스 통장
|
전세자금 대출
|
|
목적
|
자율적 자금 활용 (소비·투자 등)
|
전세 보증금 마련
|
|
금리
|
보통 4.5~6.5% (변동금리)
|
보통 2~4.5% (고정 or 변동)
|
|
대출 방식
|
한도 내 수시 인출·상환
|
일시 대출 후 원금+이자 상환
|
|
보증 필요
|
보통 신용대출로 무보증
|
주택금융공사, SGI 보증 필수
|
|
상환 방식
|
만기일 일시상환 또는 자유 상환
|
거치 후 원리금 분할 상환
|
🔍 실제 금액으로 비교해볼까요?
예시 조건 (2025년 기준):
- 전세 보증금 1억 원
- 대출 기간: 2년
- 마이너스 통장 금리: 연 5.5%
- 전세자금 대출 금리: 연 3.2%
① 마이너스 통장 이용 시
- 총 이자 계산:
- 1억 × 5.5% × 2년 = 1,100만 원
- 하지만 실제 사용 기간 및 잔액이 유동적이므로
- 평균 사용액이 절반(5천만 원)일 경우 →
- 5,000만 × 5.5% × 2 = 550만 원
→ 이자: 550만 ~ 1,100만 원
② 전세자금 대출 이용 시
- 총 이자 계산:
- 1억 × 3.2% × 2년 = 640만 원
→ 단순 비교 시 이자가 더 저렴하지만
보증료가 약 1.0~1.2% 발생 (약 100만 원 내외)
→ 총 비용: 약 740만 원

✅ 어떤 상황에 어떤 대출이 유리할까?
|
상황
|
유리한 선택
|
이유
|
|
이자 최소화 목적
|
전세자금 대출
|
낮은 금리 + 확정 조건
|
|
소득이 높고 신용 우수
|
마이너스 통장
|
절차 간단, 사용 유연
|
|
보증서 발급이 어렵거나 싫다면
|
마이너스 통장
|
신용만으로 가능
|
|
대출금 중 일부만 쓸 예정
|
마이너스 통장
|
사용한 만큼만 이자 부담
|
|
주택 보유 없이 첫 전세 입주
|
전세자금 대출
|
정부 지원 상품 혜택 가능
|
결론: 대출 목적과 자금 흐름을 먼저 따져보자!
- 전세 목적이라면, 조건만 맞는다면 전세자금 대출이 이자 측면에서 유리합니다.
- 다만, 보증료·절차·승인 조건 등을 고려했을 때
- 일부 상황에서는 마이너스 통장이 더 유연하고 간편합니다.
핵심은?
"어떤 자금 흐름이 필요한가" + "내 신용 조건" 이 두 가지를 꼭 확인하고 선택하세요.
최종 요약
- 마이너스 통장: 자율성 높지만 금리가 비쌈
- 전세자금 대출: 이자 저렴하나 절차 복잡 & 보증 필요
- 전세 목적이라면 전세대출, 유연한 자금 활용이라면 마통
- 이자 총액, 보증료, 승인 조건까지 꼼꼼히 따져야 손해 안 봅니다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