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. 키갈남입니다 😊
오늘은 청년이라면 꼭 알아야 할 자산형성 지원 제도 중 하나인
바로 청년내일채움공제에 대해 자세히 정리해드릴게요!

💼 청년내일채움공제란?
중소·중견기업에 정규직으로 취업한 청년이 일정 기간 근무하면,
정부와 기업이 함께 목돈 마련을 도와주는 자산형성 제도입니다.
쉽게 말해, 청년이 월 12.5만 원씩 2년간 저축하면,
정부와 기업이 총 900만 원을 얹어줘서
최종 1,200만 원 이상을 손에 쥘 수 있는 구조예요!
👥 신청 자격 요건
청년내일채움공제는 아래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신청 가능해요.
✔ 나이
- 만 15세 이상~34세 이하
- 군필자는 복무기간만큼 최대 만 39세까지 연장 가능
✔ 고용 형태
- 중소·중견기업의 정규직으로 신규 채용된 청년
✔ 고용보험
- 가입 이력이 있어야 하며, 신청 시점에 고용보험 가입 상태여야 함
✔ 가입 이력
- 과거 동일 공제 가입 이력 없어야 함
- (기존 가입자 → 재가입 불가)
💰 얼마를 받을 수 있나요?
|
항목
|
금액
|
|
청년 납입금
|
300만 원 (월 12.5만 원 × 24개월)
|
|
기업 기여금
|
300만 원
|
|
정부 지원금
|
600만 원
|
|
총 만기 수령액
|
1,200만 원 + 이자
|
📌 기업 기여금은 일부 정부 보조 가능
📌 정부지원금은 고용노동부, 중소벤처기업부가 공동 부담
📌 운영 방식
- 지원 기간: 2년
- 청약 시점: 정규직 채용일로부터 6개월 이내
- 지급 방식: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에서 운영, 만기 시 일시금 수령
- 중도해지 시: 본인 납입금만 환급되고, 정부 및 기업지원금은 반환됨
📝 신청 방법
- 워크넷에서 참여 신청
-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청년내일채움공제 사이트에서 청약 신청
- 고용센터 및 기업 담당자 확인 후 최종 가입
제출 서류 예시
- 근로계약서
-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내역
- 사업자등록증
- 청약 신청서 등
📌 대상 기업 조건은?
-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 5인 이상
- 국세·지방세 체납 없을 것
- 산업재해율 과도하거나 고의적 체불 없는 사업장
※ 스타트업, 벤처기업 포함. 병·의원 및 제조업도 가능
💡 왜 이 제도가 중요한가요?
- 청년은 2년간 약 1,200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어요.
- 결혼, 전세자금, 창업, 학자금 상환 등 실질적인 초기 자금 형성 가능
- 기업은 인재 장기근속 유도, 정부는 청년 일자리 유지 → 서로 윈윈!
✅ 키갈남 한줄 요약
2년 일하면 1,200만 원?!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자산형성 ‘치트키’입니다!